-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2. 세팅부터 Hello World 까지내가 보기 위해 쓰는 것/Node.js 2019. 10. 31. 10:31
당연히 Node.js 를 설치해야겠죠. 공식홈페이지에 가서 LTS버전으로 설치합시다.
LTS와 Current 버전에 대한 차이는 쓰지 않겠읍니다. LTS가 안정적인 버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잘 설치됬는지 볼까요. CMD창을 켜고 아래처럼 입력해주세요.
저랑 같은 결과가 나왔다면 성공입니다.
node라고 입력하고 나서 > 이렇게 입력화면이 나타나죠? 이걸 REPL(Read Eval Print Loop)이라고 한답니다.
REPL 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Ctrl + C를 두번 누르거나 .exit 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제 본격적인 시작을 해봅시다.
적당한 연습용 폴더를 만드시고, node.server.js 파일을 만드신 후 아래처럼 코드를 입력합시다.
아직 이해못해도 괜찮습니다. 저도 이해하려고 쓰는거니까요.
// 모듈을 추출합니다. var http = require('http') // 웹 서버를 만들고 실행합니다. http.createServer(function (req, res) { //req = request, res = response입니다. 많이 줄여쓰니 익숙해집시다.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 res.end('<h1>Hello World..!</h1>') }).listen(3001, function () { console.log('Server running at http://127.0.0.1:52273/') })
인제 cmd에서 node.server.js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합시다.
간단한 cmd 명령어입니다.
cd 현재 폴더에서 다른폴더로 이동, .. 을 입력하면 상위폴더로 dir 현재 폴더의 내용을 보여줌 d: D드라이브로 이동, E,G,C도 당연히 되겠죠? 제가 입력한걸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이제 node.server.js 가 있는 폴더에 왔으면 node node.server.js를 입력합시다.
저처럼 이렇게 뜨셔야 하구요. 써잇는데로 http://127.0.0.1:3001/ 에 서버가 열렸다니 들어가봅시다.
서버가 만들어졌습니다.
아직 대체 require, req, res등 설명이 없었죠?
차근차근 알아가보자구요. 다음에는 Node.js의 전역객체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내가 보기 위해 쓰는 것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6. http 모듈 1편 (Http, Server, Request, Response) (0) 2019.11.04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5. 이벤트 관리 (0) 2019.11.04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4. 기본 내장 모듈 (0) 2019.11.01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3. Node.js의 전역객체 (0) 2019.10.31 제로부터 시작하는 Node.js - 1. 개요 (0) 2019.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