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 - Closure내가 보기 위해 쓰는 것/Javascript 2019. 10. 7. 15:04
생활코딩에서 쭉 봤는데 거기서 나오는 마지막 예제가 하이라이트 인 것 같다.. 내가 쓴 예제를 이해하려면 호이스팅과 IIFE 개념이 필요하다. Closure의 개념은 내부함수가 외부함수의 변수등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block scope의 관점에서 봤을 때 당연해 보이기도 하는데 중요한건 외부함수가 소멸하거나 호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참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var arr; var i; var index; arr = []; for(i = 0; i
-
Javascript - 호이스팅개념내가 보기 위해 쓰는 것/Javascript 2019. 10. 7. 11:53
우선 아래와 같은 코드를 보고, 어떻게 작동할지 예측해보자 1 2 3 4 5 if(true){ var hey = 'hello'; } console.log(hey); cs 일반적인 경우 hey는 if문안에 {} 영역에서 선언되었으므로 그 밖의 영역에 있는 console.log 에서는 호출할 수 없어야 한다. 그런데 이 소스는 작동한다. 그 이유는 var hey가 호이스팅 되었기 때문이다. 위 소스는 아래처럼 호이스팅 된다. 1 2 3 4 5 6 7 var hey; if(true){ hey = 'hello'; } console.log(hey); cs 즉 호이스팅이란 선언과 할당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선언은 선언된 block의 최상단으로 옮겨진다. 위 예시에서는 var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var는 fu..
-
의미있고 부러운 성공한 아티스트들음악 2019. 10. 2. 11:08
첫번째는 Kamasi Washington 이다. 놀랍지만 30대다. 정확히는 색소포니스트지만 활동은 솔로 프로젝트처럼 하고있다. 판다 베어, 수프얀 스티븐스 처럼 혼자서 세션만 쓰면서 활동하는데 세션에 엄청 민감한 재즈아티스트로써는 굉장히 파격적인 방식이다. 이 인간의 성공이 의미가 큰 것은 다죽고 이제는 사교, 교양같은 영역으로 넘어가기 직전인 재즈라는 장르를 다시 대중음악의 영역으로 끌고 왔다는 것이다. 재즈는 변화하는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했다. 수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심지어는 근래에 와서 비밥의 탄생을 회의적으로 보기도 하는 시각도 생겼다. 비밥의 탄생 후 재즈의 영역, 영향력이 매우 커졌다. 루이 암스트롱을 대표로 소수의 빅밴드 출신의 아티스트 등이 재즈는 클래식과 달라야..
-
아마츄어증폭기의 심정, 가사에서 진심을 느꼈던 것들음악 2019. 9. 26. 00:33
이제는 한받으로 불리는 아마츄어증폭기의 2004년 발매 앨범인데 쭉 들어보면 참 이렇게 슬픈 앨범이 없다. 내가 이 앨범을 해석한 방식은 아마 사족이 많이 들어갔을텐데 그래도 없는 글솜씨로라도 써보고 싶다. 너무 인상깊어서... 2005년 럭스의 그 사건이 있기 전이라도 아마 이런 인디밴드/프로젝트는 전혀 돈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상업성을 조금 붙이거나 전위적인척(진짜 전위음악을 좋아하던)을 하거나 했다면 나처럼 허영심이 가득찬 인간들에게 추앙을 받기라도 하며 펑크정신이던 예술정신이던 아니면 그냥 정말 좋아서 하던 본인들만의 신념을 지탱했을텐데 그런 음악도 아니다. 초라한 목소리와 노래 솜씨 통기타 하나로만 진행되는, 서사같은 것도 욕심이 없는 단촐한 흐름 헤드셋으로 녹음한 듯한 음질 - 실제로..